많은 설계사들이 종신보험을 판매하면서 '저축 기능'을 강조합니다. 이는 자동차를 판매하면서 '이동'보다 '과시효과'에 맞춰 판매하는 것과 비슷하죠. 부수적인 효과를 강조해 마케팅을 하는 셈입니다.
하지만 자동차는 사실 이 부수적인 효과가 판매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종신보험도 마찬가지죠. 이에 보험사들은 종신보험의 저축 효과를 강조해왔죠. 아울러 여러 기능을 추가해 은행 적금보다 종신보험의 적립금이 더 크게 발생하는 시기를 앞당기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래야 저축기능을 여전히 강조할 수 있으니까요.
가장 대표적인 것은 저해지환급형, 무해지환급형 구조입니다.
종신보험은 납입기간이 통상 20년입니다. 물론 10년 혹은 30년을 납입기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죠. 통상적으로 20년의 납입기간을 가장 많이 설정합니다. 그런데 납입을 끝내지 못하고 보험을 해지하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실제 종신보험 5년 유지율은 50%대에 불과하죠. 즉 가입자 10명 중 5명은 납입을 끝내지 못하고 손실을 보면서 해지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조기해지하는 것을 줄이는 동시에 끝까지 납입한 종신보험 가입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도입한 것이 바로 저해지환급형과 무해지환급형 상품입니다. 저해지환급형은 납입기간에 해지할 경우 해지환급금을 거의 돌려받지 못합니다. 무해지환급형은 아예 한푼도 받을 수 없죠. 납입기간 중 해지하면 정말 큰 패널티가 있으니 장기 유지하라는 겁니다.
그런데 패널티만 있으면 안 되겠죠. 저해지환급형, 무해지환급형 상품은 납입기간에 해지해도 환급금을 일부 돌려주는 표준형 상품 대비 보험료가 최대 20% 이상 저렴합니다. 표준형이 10만원 내야 받을 수 있는 보장을 8만원만 내고 받을 수 있는 거죠. 또한 납입이 끝난 직후에는 환급금이 표준형과 동일한 수준으로 높아집니다. 이는 납입기간 중 해지한 가입자에게 환급금을 돌려주지 않는 대신 납입을 끝낸 사람에게 준다는 개념을 적용했기 때문입니다. 즉 저해지환급형, 무해지환급형은 납입기간만 잘 유지하면 매우 유리한 상품입니다. 적은 보험료를 내고 향후 더 큰 보장과 더 많은 환급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보험료는 표준형 대비 상대적으로 덜 내고 환급금은 표준형만큼 커지기 때문에 저축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활용되기도 하죠.
보험사들은 체증형이라는 구조도 도입했습니다. 체증형은 일정시점 이후 보장금액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령 1억원 보장 상품인데 10년 후에 10%씩 보장금액이 커진다고 하죠. 30세에 가입했다면 39세까지 보장금액은 1억원이지만 11년째인 40세부터는 1억1000만원, 42세에는 1억2000만원이 되는 겁니다.
보장금액이 커지니 보험료는 어떻게 될까요? 네. 보험료도 커지겠죠. 더 많은 보험료를 내야 할 겁니다. 그런데 가입 초기에 위험보험료는요? 1억원을 보장하니 가입초기 위험보험료는 커지지 않습니다. 이걸 뒤집어 보면 보험료는 더 많이 내는데 위험보험료는 커지지 않으니 더 많은 적립금이 초기에 쌓입니다. 이렇게 쌓은 적립금을 높은 이율의 복리로 굴리면 더 빨리 은행 적금보다 이익이 커지겠죠.
결국 체증형은 향후 보장을 더 크게 한다는 장점을 내세우고 있지만, 뒤집어 생각하면 저축기능을 더 강조하기 위해 도입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죠.
최근 생명보험사들은 단기납 종신보험을 많이 판매하고 있습니다. 과거 통상 20년간 납입 조건으로 가입을 많이 했는데, 현재는 10년 이내로 가입하는 상품이 많이 팔립니다. 사실 단기납 종신보험도 저축기능을 강조하기 위해서 도입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위험보험료가 동일한데 보험료를 더 납입하면, 초기에 적립금이 커지겠죠. 가입 초기부터 크게 쌓인 적립금을 은행 적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이율로 운용하면, 은행보다 더 많은 이익을 가져가는 구간이 앞당겨지게 됩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저해지환급형과 체증형, 단기납까지 이런 저축관련 기능을 모두 적용한 상품까지 나오고 있죠. 종신보험의 부가기능인 저축을 강조, 목돈을 모으는 동시에 사망보장까지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말 이런 종신보험이 은행 적금보다 더 괜찮을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그렇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합니다. 보험사들은 은행 적금보다 더 수익률이 많이 나오는 구간을 만듭니다. 보장성보험의 대표상품을 저축컨셉으로 판매하기 위한 고육지책이겠죠. 소비자의 본전심리에 반하지 않고, 판매 하기 위해 일정 구간에서는 은행 금리보다 수익률이 높아야 합니다. 그리고 판매자인 설계사는 해당 구간을 강조해서 설명합니다. 종신보험에서 적용하는 공시이율은 매월 시중금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은행 적금보다는 높은 이율을 적용하죠. 그래서 종신보험이 적금 대비 좋은 구간이 있다는 건 사실입니다. 지속적으로 저축보다 좋을 수는 없지만요.
그렇다면 이런 종신보험에 가입하는 게 유리할까요? 아니면 종신보험에 가입하기 보다 그 돈으로 차라리 저축을 하는 게 나을까요? 이런 질문을 한다는 그건 개인의 사정에 따라 달리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씀 드립니다. 보장과 동시에 어느정도의 목돈 마련이라면 종신이 더 나을 수 있지만 저축만을 원한다면 저축이 나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포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